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2020년 유튜버 뒷광고 사건/영향 및 반응/참PD가 저격한 채널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도티]] # === PD의 생방송에서 각각 10만 원, 총 40만 원을 사용하며 슈퍼챗으로 참PD의 주장에 반박했다. 슈퍼챗 원문 내용을 그대로 가져와 오타나 문법오류가 있다. >당시 후원 내용 #1 >---- >그 증거가 뭔지 저도 궁금하네요.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저희는 유튜브의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으며 저희 계약시스템을 모르시나본데 저희는 독점계약만 있는게 아닙니다. 저희가 엽업한 광고건이 아닌 비독점 계약을 통해 저희가 모르는 광고영업을 하신 크리에이터들에 대한 부분의 문제일까요. 그러지 않아도 만나게 될 것 같네요. 2년간 하셨다구요. 저는 8년간 활동하면서 단 한 번도 그 무엇도 진심을 속인적이 없습니다. 만나죠 >당시 후원 내용 #2 >---- >물론 저희가 애써도 부족한 부분들이 많다는 점도 알고 롤모델이 없는 사업을 하며 실수도 참 많이 합니다. 하지만 왜 제 진심과 [[샌드박스 네트워크|회사]]의 진심까지 곡해하시면서 이렇게 원색적인 비난을 하신건지 도무지 이해가 안가네요. 이는 명백한 허위사실입니다. >당시 후원 내용 #3 >---- >저는 그 누구보다 크리에이터들과 회사를 사랑하고 가장 정성적인 방법으로 크리에이터들과 함께 성장하기 위한 신념을 가진 사람입니다. 유튜브의 유료광고 정책이 업데이트 될 때마다 정확하게 공지하고 준수하고 있으며 이는 유튜브 코리아에서도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제 삶과 같은 회사를 제가 팔아먹으려 한다구요..? 디지털미디어의 한 축이 되었으면, 인생의 족적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사는 사람입니다. >당시 후원 내용 #4 >---- >네. 저도 말씀하신 부분에 십분 공감하며 이 생태계가 좀 더 바른 방향으로 나아가 더욱 성장하길 참피디님처럼 바라는 사람입니다. 앞으로 더욱 잘 챙겨야겠죠. 그리고 저는 거짓말을 한 적이 없습니다. 거짓말이라면 참피디님이 제가 [[샌드박스 네트워크|회사]]를 팔아먹기 위해 사업을 한다는 말씀이겠죠. 사업을 해보셨나요? 투자를 받는 목적이 회사를 팔기 위함인가요?? 제 목숨같은 [[샌드박스 네트워크|회사]]입니다. 제 진의를 추측으로 왜곡하여 호도하지 마십시오. 샌드박스 네트워크 측은 이번 사건에 대해 [[http://m.viva100.com/view.php?key=20200804010000689|강경 대응하겠다고]] 입장을 밝힌 상태이다. 이후 참PD 측에 따르면 도티가 참PD와 직접 만나 샌드박스 초창기 시절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발전 과정을 들려주며 공정한 가이드라인을 공개했다고 한다. 기본적으로 초기에 슈퍼챗을 사용해 논란이 될 만한 내용없이 대처를 한 것은 좋은 평을 받으나 자신의 회사 소속 크리에이터들의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 했다는 점과 도티 자신도 과거에 올린 광고 영상에서 유료 광고를 제대로 표시하지 않은 점에서는 의혹이 없어지진 않고 있다. 2020년 8월 6일, [[스트리머 갤러리]]에 익명의 유저가 샌드박스 직원증 인증과 함께 샌드박스 네트워크 퇴사자라 주장하며 내부고발 게시물을 작성했다. [[https://m.dcinside.com/board/stream/5011044|#]] 그러나 해당 글의 경우 퇴사자임에도 불구하고 사원증을 반납하지 않았다는 점과 인증 사진이 합성한 듯이 어색한 점에서 조작 논란이 일고 있다. 추가적으로 해당 작성자가 올린 글 내용중에 도티는 논란이 커지자 스페셜 솔저 리뷰 영상을 급히 유료 광고로 바꾸었다고 주장하며 증거 사진을 올렸다. 하지만 영상창에 뜨는 유료 광고 표시는 20초가 지나면 영상창에서 알아서 사라지는 점을 이용해 조작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도티가 8월 9일에 실시간 스트리밍을 하면서 이 부분을 언급했는데, 전혀 사실무근이라고 한다. 이후 도티의 팬들이 이에 관해 더 알아본 바에 의하면 해당 직원증은 샌드박스가 1차 개편을 하기전의 직원증인데[* 샌드박스 로고가 현재의 3D로고가 아닌 초기의 2D레고 모양 로고이다.] 도티 본인은 샌드박스가 개편한지 어느 정도 지나서야 면허를 땄다. 해당글의 자동차 부분은 완전히 허위사실인 셈. 즉 다른 사생활 부분들도 거짓일 가능성이 높다. 유튜버 정배우가 스페셜 솔저 리뷰 영상 이외에도 도티가 다른 뒷광고를 했다고 주장하는 영상을 업로드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7GRkXueAhDc&t=0s|#]] 그러나 정배우가 언급한 영상들은 대부분 유튜브 유료광고 표시 시스템이 생기기 전이나 생긴 후 얼마되지 않아 올린 것이며 [[내돈내산]] 같은 언급을 한적도 없기에 때문에 뒷광고라 보기에는 힘들다. 또한 정배우의 해당 영상들은 대부분 광고인지조차 확인되지 않은 영상들이었다. 도티의 해명 영상에 따르면 해당 영상 중에는 광고 의도가 전혀 없었던 영상도 있었다고 한다. 이번 사태로 문제가 공론화되면서 도티가 스솔 영상에 유료광고 표시를 하면서 스솔 영상은 광고가 맞았다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해당 영상들은 전부 유튜브 광고 가이드라인 출시 전에 올라온 영상들이며 애초에 스솔은 게임에 도티 스킨이 출시되고 도티도 콜라보라고 밝히며 영상을 찍는 등 넥슨과 도티 양쪽 다 대놓고 콜라보임을 드러내며 영상을 촬영했기 때문에 시청자를 기만하였다고 보기도 어렵다. 8월 9일 오후 8시 35분 무렵, 진심이라는 제목과 함께 실시간 스트리밍을 시작했다.[[https://youtu.be/7yuRQjZzGpU|#]] 본인은 뒷광고를 하지 않았다고 하며, 본인이 모든 영상을 다 확인하고 진심을 되돌아보면서 낸 결론이라 한다. 유료광고표시 시스템이 추가되었을 때 기존에 올린 영상 '''약 3000개'''를 본인이 직접 하나하나 검토했는데 유료광고 표시를 하지 않은 영상은 자신이 놓친 것이라고 한다.[* 다만 2020년 1월에 업로드된 [[https://youtu.be/ddhzVOahqtA|'결혼준비' 영상]]의 사례를 봤을 때 이 유료광고 표시라는 건 영상에 '유료광고 포함' 표기가 없더라도 설명창에 유료광고를 포함 여부를 적은 것도 포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해당 영상은 논란 이후 유료광고 포함 표기가 추가되었다.] 또한 스트리머 갤러리에 올라온 샌드박스 퇴사자의 글은 허위 사실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생방송에서 최근에 일어난 침착맨 관련 논란을 해명해달라는 댓글이 많아지자 도티는 다른 유튜버를 언급하는 것은 실례인 것 같아 언급은 하지 않겠다고 하였다.[* 침착맨 본인이 야방때 샌드박스에게 자신에게 진심으로 미안하다면 사과하지 말라 한 영향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샌드박스가 롤모델이 없는 회사라[* 기존 MCN 중에는 다이아 TV처럼 든든한 지원자가 있거나 콜랩처럼 해외에 거점을 둔 MCN이 많았기에 아무런 뒷받침 없이 MCN을 세우는 데 본받을만한 롤모델이 없었을 것이다.] 많은 문제점이 있는 건 사실이고 이를 최대한 고치겠다고 최근 샌드박스와 관련된 비판들에 대해 사과하면서 어느 정도 여론을 회복하는 것에 성공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비슷한 시기, 뒷광고 폭로자 측인 [[참PD]]와 [[홍사운드]]의 경우에는 여론이 악화되었다.][* 또한 참피디가 이후 도티와 샌박 관련 폭로에는 왜곡된 부분이 있었다고 인정하는 사과 영상을 올렸고, 도티의 해명 영상에서 도티가 정작 이번 사태로 인한 제일 힘든 사람은 참피디일텐데 오히려 자신한테 꾸준히 사과와 응원 메세지를 보내주신다며 자신은 개인적으로 참피디가 너무 고맙다고 언급하였다. 현재는 뒷광고가 아닌걸로 밝혀졌다.] 라이브 방송의 댓글창은 중립을 선언하는 댓글과 과거 시청자[* 대략 5년 전까지의 초중학생 시청자층. 현재는 중고등학생 이거나 성인인 시청자도 있다.]들이 안타까움을 표하는 댓글이 주가 되어 있다.[* 댓글 곳곳에 보이는 'N'이라는 댓글은 중립을 의미하는 neutrality의 약자 내지 자동차의 중립기어를 뜻한다.] 비판하는 댓글을 단 몇몇 사람들이 자신의 댓글이 삭제되었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유튜브 시스템 상에는 욕설이나 기타 민감한 내용을 자동으로 검열하는 시스템이 있다. 비판하는 쪽이 욕설이나 민감한 발언을 훨씬 더 많이 쓰는 것이 현실이고, 시청자들의 신고 누적으로 인해 사라졌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도티 본인이 삭제했다곤 단정지을 순 없다. 이후 9월 18일, [[https://m.youtube.com/watch?v=0e4K_5oVix8|유튜브 광고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까요?]]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이 영상에서 도티는 뒷광고에 대해서 '''사과'''하는 것이 아닌, 공정위와 협력해 유튜브 광고에 대해 어떠한 것이 올바른 표기법인지 '''설명'''하고 있다. 또한 공정위가 주최하는 '''클린 콘텐츠 캠페인'''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모습을 보이면서 여론 또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게 되면서 이미지 회복에 거의 완벽하게 성공하였다. 다만 사건전개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에는 도티를 아직도 뒷광고의 축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기에 완벽하다 하기엔 무리가 있다. 그리고 다음날 '''유료광고'''가 포함된 [[https://youtu.be/t5y4zRGiu8Y|수원 월드컵 경기장 투어]]라는 영상을 업로드 하면서 완전 결백을 강조하고 앞으로도 유튜브 영상을 게시할 것이라고 간접적으로 언급하였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